차량용 스프레이 체인 사용법 앞바퀴? 뒷바퀴?

겨울철 차량용 스프레이 체인을 사용 시 타이어의 앞바퀴 뒷바퀴 사용은 차종과 구동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잘못 사용하면 돈만 날릴 수 있으니 차량 형식에 맞춰 사전에 사용 방법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차량용-스프레이-체인-사용법
구동방식에 따른 차량용 스프레이 체인 사용법

전륜구동(FWD) 차량

  • 구동 바퀴: 앞바퀴

  • 스프레이체인 뿌리는 위치: 앞바퀴

  • 바퀴를 직접적으로 움직이는 구동력이 걸리는 앞바퀴에 체인을 뿌려야 타이어가 힘을 받고 나아갈 수 있음.

  • 브레이크를 밟더라도 제동력이 앞바퀴에 집중되므로, 앞바퀴에 뿌리는 것이 운행에 도움이 됨



후륜구동(RWD) 차량

  • 구동 바퀴: 뒷바퀴

  • 스프레이체인 뿌리는 위치: 뒷바퀴

  • 후륜구동의 경우 바퀴가 미끄러지면 차량이 옆으로 밀려 차량이 돌아가는 스핀현상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뒷바퀴를 먼저 보호해야 함.

  • 후륜구동은 가능하면 뒷바퀴뿐 아니라 앞바퀴 브레이크 부분에도 살짝 뿌려서 제동 안전성이 높이는 방법 추천


사륜구동(4WD/AWD) 차량

  • 구동 바퀴: 앞 · 뒤 모두

  • 스프레이체인 뿌리는 위치: 앞·뒤 바퀴 모두

  • 구동 바퀴가 네 바퀴 모두라 한쪽만 뿌리면 제동되는 힘이 분산되어 한쪽으로 미끄러짐 가능성이 높아짐

  • 사륜구동은 모든 타이어에 뿌려서 운행


꼭 확인하세요!!!

  • 차량 정지 상태에서 뿌리세요!! - 주행 중에 뿌리면 타이어의 원심력에 의해 스프레이체인이 다른곳에 살포되어 장기적으로 차량에 손상을 줄 수 있음

  • 주행 후 재도포 필요 -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스프레이 체인이 씻겨 나가면서 제동력이 약해 질 수 있어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거리이상 주행할 경우 추가로 살포

  • 제동 테스트 - 스프레이 체인 살포 후 저속에서 브레이크가 잘 듣는지 꼭 미끄럼 테스트 해보고 주행




자동차 전륜 후륜 확인하는 방법

차량 설명서의 제원표 확인

  • 가장 확실한 방법은 차량 매뉴얼이나 제작사 홈페이지의 제원표를 보는 것.

  • "구동 방식: FF(Front Engine Front Drive) = 전륜, FR = 후륜, AWD/4WD = 사륜" 으로 표기


차량 모델별 구동 방식 확인

  • 보통 제조사의 차종에 따라 기본 구동이 정해져 있습니다.

    • 국산 일반 승용차(아반떼, K5, 소나타 등) → 대부분 전륜구동

    • 일부 SUV, 스포츠 세단(제네시스 G80, BMW 5시리즈 등) → 후륜구동 or 사륜

    • 오프로더/SUV(싼타페, 투싼, 쏘렌토, 렉스턴 등) → 전륜 + 옵션 사륜



엔진룸의 구조로 확인

전륜-FWD-구동-엔진룸-예시
전륜-FWD-구동-엔진룸-예시
  • 전륜구동(FWD)은 엔진과 변속기가 앞바퀴에 직접 연결되어 앞쪽만 드라이브 샤프트가 보이게 되는 형식


후륜-RWD-구동-엔진룸-예시
후륜-RWD-구동-엔진룸-예시
  • 후륜구동(RWD): 차량 하부를 살펴보면 가운데 긴 프로펠러 샤프트가 뒤쪽까지 이어져 뒷바퀴로 연결됨



사륜-AWD-4WD-구동-엔진룸-예시
사륜-AWD-4WD-구동-엔진룸-예시
  • 사륜구동(AWD/4WD): 앞바퀴와 뒷바퀴 모두에 드라이브 샤프트 연결이 있음.



차량 내 버튼/계기판 확인

SUV나 일부 차량은 실내에 “4WD” / “AWD” 버튼으로 확인 하거나 계기판에 4륜 구동(LOCK, AUTO, 2H/4H/4L 등) 표시로 확인

네이버 또는 케이카 등 자동차 사이트 검색

확인하고 싶은 차량의 차량 연식과 모델명을 입력하면 자동차 제원부분에서 구동 방식에서 전륜, 후륜, 사륜 확인 가능.

주요 국산차 및 수입차 구동 방식 요약

브랜드 차종 구동 방식(기본)
현대 아반떼 전륜구동(FWD)
현대 쏘나타 전륜구동(FWD)
현대 투싼 전륜구동(FWD)
현대 팰리세이드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기아 K3 전륜구동(FWD)
기아 K5 전륜구동(FWD)
기아 스포티지 전륜구동(FWD)
기아 쏘렌토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7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8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V7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르노 QM6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쉐보레 스파크 전륜구동(FWD)
쉐보레 말리부 전륜구동(FWD)
쉐보레 트래버스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쌍용 티볼리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쌍용 렉스턴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수입차
아우디 A3, A4, A6, Q3, Q5 전륜구동(FWD)
아우디 Q7, Q8 사륜구동(AWD)
BMW 1시리즈, X1 전륜구동(FWD)
BMW 3시리즈, 5시리즈, 7시리즈 후륜구동(RWD)
BMW X3, X5, X6 사륜구동(AWD)
벤츠 A-Class 전륜구동(FWD)
벤츠 E-Class, S-Class 후륜구동(RWD)
벤츠 GLC, GLE, G-Class 사륜구동(AWD)
볼보 V40, V60 전륜구동(FWD)
볼보 XC60, XC90 사륜구동(AWD)
포르쉐 911, 파나메라 후륜구동(RWD)
포르쉐 카이엔, 타이칸 사륜구동(AWD)
재규어 XE, XF 후륜구동(RWD)
재규어 F-PACE, I-PACE 사륜구동(AWD)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레인지로버, 디펜더 사륜구동(AWD)
미니 쿠퍼, 컨트리맨 전륜구동(FWD)
폭스바겐 골프, 티구안, 파사트, 아테온 전륜구동(FWD)
폭스바겐 투아렉, ID.4 사륜구동(AWD)


정리 포인트

  • 국산 대부분 전륜구동(FWD)이 기본, SUV 또는 제네시스급 세단은 옵션으로 AWD선택 가능
  • 고급 세단 제네시스, BMW, 벤츠는 후륜구동(RWD) 기반이나 사륜구동 옵션 선택 가능
  • 수입 (BMW X 시리즈, 벤츠 GLC/GLE)는 대부분 사륜구동 기본
  • 아우디 A3, BMW 1시리즈, 미니 쿠퍼는 대부분 전륜구동(FWD)

주요 국산차 및 수입차 구동 방식 요약

브랜드 차종 구동 방식(기본)
현대 아반떼 전륜구동(FWD)
현대 쏘나타 전륜구동(FWD)
현대 투싼 전륜구동(FWD)
현대 팰리세이드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기아 K3 전륜구동(FWD)
기아 K5 전륜구동(FWD)
기아 스포티지 전륜구동(FWD)
기아 쏘렌토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7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8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제네시스 GV70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르노 QM6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쉐보레 스파크 전륜구동(FWD)
쉐보레 말리부 전륜구동(FWD)
쉐보레 트래버스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쌍용 티볼리 전륜구동(FWD, AWD 선택 가능)
쌍용 렉스턴 후륜구동(RWD, AWD 선택 가능)
수입차
아우디 A3, A4, A6, Q3, Q5 전륜구동(FWD)
아우디 Q7, Q8 사륜구동(AWD)
BMW 1시리즈, X1 전륜구동(FWD)
BMW 3시리즈, 5시리즈, 7시리즈 후륜구동(RWD)
BMW X3, X5, X6 사륜구동(AWD)
벤츠 A-Class 전륜구동(FWD)
벤츠 E-Class, S-Class 후륜구동(RWD)
벤츠 GLC, GLE, G-Class 사륜구동(AWD)
볼보 V40, V60 전륜구동(FWD)
볼보 XC60, XC90 사륜구동(AWD)
포르쉐 911, 파나메라 후륜구동(RWD)
포르쉐 카이엔, 타이칸 사륜구동(AWD)
재규어 XE, XF 후륜구동(RWD)
재규어 F-PACE, I-PACE 사륜구동(AWD)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레인지로버, 디펜더 사륜구동(AWD)
미니 쿠퍼, 컨트리맨 전륜구동(FWD)
폭스바겐 골프, 티구안, 파사트, 아테온 전륜구동(FWD)
폭스바겐 투아렉, ID.4 사륜구동(AWD)

정리 포인트

  • 국산 소형·중형 세단 및 SUV는 대부분 전륜구동(FWD)이 기본이고, SUV나 제네시스 고급 세단은 선택 사양으로 AWD가 가능합니다.
  • 제네시스, BMW, 벤츠 등 고급 세단후륜구동(RWD) 기반이고, AWD 옵션이 제공됩니다.
  • 수입 SUV(BMW X 시리즈, 벤츠 GLC/GLE 등)는 대부분 사륜구동(AWD)을 기본으로 채택하여 다양한 도로 환경에 대응합니다.
  • 콤팩트한 수입차(아우디 A3, BMW 1시리즈, 미니 쿠퍼)는 효율성을 위해 전륜구동(FWD)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자동차 구동방식 확인방법

케이카, 엔카, KB차차차 등 중고차 플렛폼에서 차량검색을 통해 구동방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색 필터를 활용해서 차량을 검색 후 차종과 수입차 여부를 선택해서 원하는 차량은 검색 후 필터 또는 제원 부분에서 원하는 구동방식을 확인 가능

참고사항

자동차 구동방식은 같은 차량 모델이라도 옵션 및 트림 선택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연식에 따라 구동 방식이 변경된 경우도 있어서 차량의 연식 정보를 꼭 확인해야 구동방식을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 중고차는 차량 소유주가 튜닝 또는 개도를 통해서 구동방식을 변경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겨울철-차량용-타이어-스프레이-체인-설치
겨울철-차량용-타이어-스프레이-체인-설치


스노우 체인 제품별 비교

제품명 타입 사용 환경 장점 단점
스노우체인 프로 스프레이형 도심 눈길, 빙판길 빠른 분사, 휴대성 우수, 가격 저렴 내구성 낮음, 지속 시간 짧음
타이어 그립 스프레이 젤형 도심 눈길, 빙판길 장시간 효과 지속, 미끄럼 방지 성능 우수 가격 다소 높음, 분사 후 타이어 세척 필요
스노우 그립 스프레이형 도심 눈길, 빙판길 빠른 분사, 미끄럼 방지 성능 우수 내구성 낮음, 지속 시간 짧음
타이어 체인 커버 물리적 체인형 강설 지역, 장거리 주행 내구성 우수, 장시간 효과 지속 장착 및 제거 번거로움, 가격 다소 높음
스노우 체인 젤 젤형 도심 눈길, 빙판길 장시간 효과 지속, 미끄럼 방지 성능 우수 가격 다소 높음, 분사 후 타이어 세척 필요


자동차 스노우 체인 선택 TIP

  • 도심에서 가끔 사용: 휴대성과 편의성 우수한 스프레이형 제품

  • 강설 시 장거리 주행: 타이어에 직접 장착하는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에 직접적으로 설치 추천

  • 예산 고려: 스프레이형 제품은 가격이 싸지만, 제동 지속성이 짧아 오히려 대량 구매 가능성이 높음

  • 세척 및 관리: 젤형은 사용 후 타이어를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