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 무료 대여 후기 - 경기도통합예약시스템 경기공유 서비스 예약 방법

며칠 전, 다리 골절 사고로 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할 시기에 걱정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병원에서는 비치된 휠체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지만, 퇴원 후 집에서 이동하려면 최소 2주 이상은 휠체어가 필요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경기도-휠체어-무료-대여-서비스
휠체어 무료 대여 서비스 이용


쿠팡에서 휠체어를 검색하니 평균 20만원에서 30만원 정도 만만치 않은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일단 사고 당근에 올릴까?"

휠체어를 신품으로 구매 후 사용하더라도 당근이나 중고마켓에 다시 올린다고 살 사람도 없을 것 같고 팔더라도 제대로 된 값을 못 받을 것 같았습니다. 

물론 병원에서 휠체어 등 의료용품을 유상으로 대여해 주는 업체도 있지만 병원에서는 무료로 휠체어를 사용하다가 퇴원후 사용 기간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이 아쉽게 느껴지게 되었습니다. 

휠체어 무료대여?

퇴원이 가까워진 어느날 휠체어 구매를 고민하고 있던 중 지인이 알려준 무료 휠체어 대여 서비스를 알게 되었습니다. 100% 무료로 대여해 준다는 소식에 당장 경기도 통합예약시스템에 접속해 보았습니다. 

골절 후 휠체어 무료 대여 


“정말 무료일까?” 하는 생각에 접속해 보니 휠체어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있는 다양한 공공 물품을 무료로 대여가 가능한 시스템이었습니다.

특히 휠체어, 목발, 보행보조기 등의 의료 물품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에 무료로 빌리게 되는 경우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공기관에서 별도로 관리되고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휠체어를 찾는 방법도 매우 간편하게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경기공유서비스 홈페이지 방문해서 공공물품 메뉴에서 "휠체어"를 입력 후 검색하면 지역별 무료로 빌려주는 휠체어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휠체어 대여 과정

경기도 통합예약시스템 접속

PC나 모바일로 ‘경기도 통합예약시스템’을 검색해서 접속합니다.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아도, 신청 전 휠체어를 빌릴 수 있는 기관명, 연락처, 휠체어 잔여수량, 보관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여 희망 품목 검색

경기공유 서비스 초기화면에서 '공공물품' 선택 후 지역, 분류(의료물품), 요금(무료)를 선택 후 검색창에서 ‘휠체어’를 입력하면, 선택한 지역 근처 복지관, 보건소,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대여 가능한 목록이 표시됩니다. 

지도와 함께 위치, 운영시간, 연락처까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촉박한 경우 기재된 연락처를 통해 빠르게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여 일정 확인

원하는 휠체어를 찾았다면 예약에 대한 안내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대부분 보관된 휠체어는 선착순으로 대여가 가능하며 방문가능시간 최소 또는 최대 대여일 등 대여정보가 각 기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세심하게 안내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휠체어 대여가능 날짜에 맞추어 예약신청이 가능하며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대여기관에 직접 연락해서 일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대여 당일 방문

예약한 날짜에 방문하면 신분증만 있으면 바로 휠체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직원분이 사용법과 반납일 안내도 해줍니다. 

휠체어는 필요한 기간을 고려해 날짜를 선택합니다. 일부 시설은 하루 단위, 일부는 며칠 이상 대여 가능합니다. 예약 후 전화 확인도 가능합니다.


사용 후 반납

사용이 끝난 뒤 약속한 날짜에 다시 방문해 반납하면 완료됩니다. 추가 비용이나 복잡한 절차가 전혀 없습니다.


다양한 무료 대여 상품

휠체어가 필요할 때 이렇게 간편하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면, 비교적 부담스러운 비용을 지불해야 했을 것입니다. 

경기도 통합예약시스템을 이용한다면 휠체어는 무료로 빌릴 수 있을 것입니다. 

경기도 통합예약시스템은 휠체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물품을 유료 또는 무료로 빌릴 수 있습니다. 

의료물품 뿐만 아니라 소방용품, 가정용품, 사무용품, 공구까지 대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지 않는 고가의 제품을 확인하고 무료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