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중위소득이 뭔가요?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는 대한민국 가구별 소득 중간값입니다. 즉 가구의 소득수준을 순서대로 나열해서 기준과 구간을 정해놓은 수치입니다.
복지 정책의 기준이 되는 매우 중요한 수치로,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 등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대상자 선정 기준이 중위소득의 몇 % 이하'로 정해지기 때문에 발표되는 기준은 아주 중요합니다.
2026~2030년 중위소득 예상표
중위소득표의 결정은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합니다.
발표되는 중위소득은 매년 가구원수에 대한 소득구간이 정해지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중위소득은 발표된 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최근 3년간 중위소득 인상률(연평균 약 5.99%)을 기반으로 계산한다면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중위소득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예측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내 가구에 대한 미래의 중위소득을 미리 예측해서 국민임대주택 신청, 기초생활수급 대상 여부 등에 활용 할 수 있을것입니다.
각 연도별로 가구원 수에 따라 얼마나 소득금액이 결정되는지 아래 표에서 예측할 수 있습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1인 | 2,535,294원 | 2,687,158원 | 2,848,118원 | 3,018,720원 | 3,199,541원 |
2인 | 4,168,224원 | 4,417,900원 | 4,682,532원 | 4,963,015원 | 5,260,299원 |
3인 | 5,326,371원 | 5,645,420원 | 5,983,580원 | 6,341,996원 | 6,721,881원 |
4인 | 6,463,029원 | 6,850,164원 | 7,260,488원 | 7,695,391원 | 8,156,344원 |
5인 | 7,533,972원 | 7,985,256원 | 8,463,572원 | 8,970,539원 | 9,507,874원 |
6인 | 8,547,886원 | 9,059,904원 | 9,602,592원 | 10,177,787원 | 10,787,436원 |
7인 | 9,526,834원 | 10,097,491원 | 10,702,330원 | 11,343,399원 | 12,022,868원 |
8인 | 10,505,782원 | 11,135,078원 | 11,802,069원 | 12,509,012원 | 13,258,301원 |
9인 | 11,484,730원 | 12,172,665원 | 12,901,807원 | 13,674,625원 | 14,493,735원 |
10인 | 12,463,678원 | 13,210,252원 | 14,001,546원 | 14,840,238원 | 15,729,168원 |
※ 위 수치는 보건복지부 발표가 아닌, 예측 모델(연 5.99% 상승률) 기반의 참고용 자료입니다.
중위소득 활용 예시
예를 들어, 2027년 3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약 5,645,420원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기초생활수급 신청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최소 가구별 예측 중위소득 구간 내의 소득이 발생되어야 신청이 가능할 것입니다.
물론 중위소득 100% 구간에서 이 소득금액의 30% 이하라면 생계급여 대상, 40%는 의료급여, 46%는 주거급여, 50%는 교육급여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 선정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발표되는 선정기준에 의해 퍼센트가 결정되므로 연도별 기준 또한 매년 확인해야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발표
중위소득은 복지정책의 핵심 기준입니다. 내년이나 다가올 해에 어떤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미리 예측하고 준비하는 데 꼭 참고하세요.
실제 수치는 매년 7~8월에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므로, 최신 발표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최신 복지 정보와 신청 방법은 본 블로그에서 계속 업데이트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