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중위소득 대비 소득 수준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신청대상에 해당되어도 직접 신청하지 않으면 지원하지 않습니다.
중위소득 계산기 - 내가 기초생활수급 대상?
계산기에 가구원 수와 월 소득만 입력하면, 복지급여(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에 해당하는지 중위소득 기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중위소득이 기초생활 수급 신청에 해당하더라도 주택소유 유무, 재산,
차량가액 등에 따라 선정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소득에 대한 자격조건에 해당한다면 재산의환산소득 기준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동사무소 복지과에 방문해서 상담받는 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세워 중간에 있는 사람의 소득을 기준으로 삼는
값입니다.
이 중위소득을 이용해서 복지 대상을 정하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정부 복지정책의 기준이 되는 매우 중요한 수치로,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됩니다.
2026~2030년 중위소득 예상표 (1인~10인가구)
최근 3년간 중위소득 인상률(연평균 약 5.99%)을 기반으로,
2026년부터 2030년까지의 중위소득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예상 중위소득이 100퍼센트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적인 기준을
정한다면 미래의 소득을 미리 예측해서 신청가능 여부를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각 연도별로 가구원 수에 따라 얼마나 기준 금액이 상승되는지 아래 표에서 개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가구원 수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2030년 |
---|---|---|---|---|---|
1인 | 2,535,294원 | 2,687,158원 | 2,848,118원 | 3,018,720원 | 3,199,541원 |
2인 | 4,168,224원 | 4,417,900원 | 4,682,532원 | 4,963,015원 | 5,260,299원 |
3인 | 5,326,371원 | 5,645,420원 | 5,983,580원 | 6,341,996원 | 6,721,881원 |
4인 | 6,463,029원 | 6,850,164원 | 7,260,488원 | 7,695,391원 | 8,156,344원 |
5인 | 7,533,972원 | 7,985,256원 | 8,463,572원 | 8,970,539원 | 9,507,874원 |
6인 | 8,547,886원 | 9,059,904원 | 9,602,592원 | 10,177,787원 | 10,787,436원 |
7인 | 9,526,834원 | 10,097,491원 | 10,702,330원 | 11,343,399원 | 12,022,868원 |
8인 | 10,505,782원 | 11,135,078원 | 11,802,069원 | 12,509,012원 | 13,258,301원 |
9인 | 11,484,730원 | 12,172,665원 | 12,901,807원 | 13,674,625원 | 14,493,735원 |
10인 | 12,463,678원 | 13,210,252원 | 14,001,546원 | 14,840,238원 | 15,729,168원 |
※ 위 수치는 보건복지부 발표가 아닌, 연 5.99% 상승률을 가정하여 작성한
참고자료입니다.
중위소득 계산 예시로 알아보기
예를 들어, 2028년 3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약 5,983,580원으로
예상됩니다. 이 예상 중위소득에서 내 가구의 소득이
30% 이하라면
생계급여 대상 40%는 의료급여, 46%는 주거급여, 50%는 교육급여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30% 이하라면 생계급여 대상 40%는 의료급여, 46%는 주거급여, 50%는 교육급여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예시-2028년 3인가구 중위소득 5,983,580원
32%이하 = 811,294원 이하인 경우 생계급여 신청가능
40%이하 = 2,393,432원 이하인 경우 의료급여 신청가능
48%이하 = 2,872,118원 이하인 경우 주거급여 신청가능
50%이하 = 2,991,790원 이하인 경우 교육급여 신청가능
기준 중위소득의 급여별 선정 비율은 매년 동일하게 설정되지만 매년 발표되는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따라 현재 기준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 생계급여: 32%
- 의료급여: 40%
- 주거급여: 48%
- 교육급여: 50%
중위소득 계산기 사용하기
미래의 중위소득 기준을 예측하고 미래의 내 가구의 소득을 예상한다면 계산기에 예상 소득 정보를 입력해서 기초생활 수급 신청가능성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중위소득 계산기
매년 중위소득은 오르기 때문에 올해 기준으로 확인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위 계산기는 2025년 기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