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 났다면? 화재 대비 체크사항 한번만 숙지하세요

우리집이 아닌 옆집 또는 위 아랫집에서 불이난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한데요. 이런 화재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화재 대응 체크사항을 한번만 기억한다면 당신과 가족의 목슴을 구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가-설치된-복도


화재시 피난 방법이 목슴을 지킬수 있습니다.


집에서 불이 났다면? 대피

어떠한 경우도 불이 났다면 집에 있는 모든 사람에게 알려야 합니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반드시 계단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낮은 자세로 땅이 있는 지상층으로 이동하거나 옥상 등의 불을 피할 수 있는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소방센터에 신고 또는 화재 비상벨의 위치를 평소 확인해 둔 후 화재시 벨을 눌러 위급상황을 전파해야 합니다. 

출입문 앞에서 불이 난다면?

밖으로 나가는 출입구에서 화재가 발생해서 피난이 불가능하다면, 베란다 등 대피공간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경량칸막이를 뚫어 옆집으로 피난하거나 하향식 피난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해서 대피해야 합니다. 

평소 화재가 날 경우를 생각해서 대피할 곳을 미리 확인해 두어야 합니다. 

만약 대피공간이 없는 경우 불이 난 곳에서 멀리 떨어지고 화재공간의 문을 닫고 연기가 퍼지지 않도록 젖은 수건으로 문틈을 막아야 합니다. 

다른 집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

만약 옆집 또는 인근 거주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고 내 집으로 화염이나 연기가 들어오지 않는 경우라도 창문이나 문틈을 밀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기가 들어오지 않더라도 안전한 밖으로 대피해 상황을 주시하고 주변 사람에게 화재 사실을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집에서 화재가 발생되서 불과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

내 집에서 화재가 생긴 경우와 같이 아주 위험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경우 반드시 대비해야 하며 복도 또는 계단에 화염과 연기가 없어 대피가 가능한 경우 낮은 자세로 땅이 있는 지상층으로 이동하거나 옥상 등의 불을 피할 수 있는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계단 복도 등의 대피로가 차단되었다면 구조요청 후 문을 닫고 젖은 수건으로 밀폐해서 연기와 화염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이때 경량칸막이를 통해 다른세대로 대피하거나 복도, 계단실, 엘리베이터 홀, 주차장 등 대피공간이 있다면 이곳으로 대피해야 하며 구조요청 시 구조 안내사항에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